Surprise Me!

[人터view] 미얀마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 / YTN

2021-04-17 4 Dailymotion

미얀마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지 70여 일이 지났습니다. <br /> <br />군부에 맞선 시민들의 투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학살로 인한 사망자가 700명을 넘었는데도, 국제사회의 대응이 미지근한 이유는 무엇일까요? <br /> <br />사람, 공간, 시선을 전하는 인터뷰. <br /> <br />지금 미얀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들여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영상리포트] <br /> <br />미얀마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지 70여 일이 지났다. 군경의 강경 진압으로 외부에 알려진 사망자만 700명을 넘었다. <br /> <br />02.01. <br /> <br />- 민 아웅 흘라잉 군 총사령관이 이끄는 군부 쿠데타 발생. <br /> <br />지난해 치러진 총선이 부정선거였다며,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 등 고위인사를 구금하고, 입법·사법·행정 3권을 장악했다. <br /> <br />미얀마 정치의 특이점은 군부의 독보적 지위에 있다. <br /> <br />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하면 대통령 권력은 자동으로 군 총사령관에게 넘어간다. <br /> <br />그런데 비상사태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정해놓지 않아, 군부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권력을 가져올 수 있는 구조다. <br /> <br />[장준영 / 사이버한국외대 교수 : 2008년 제정된 헌법에는 군부의 역할과 기능을 명시하고 있습니다. 첫 번째로 군사령관은 군 통수권자이고, 그리고 국방부, 내무부, 국경부 장관을 직접 지명할 수 있습니다. 마지막으로 의회 의석의 25%를 군사령관이 직접 지명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헌법을 고치려면 의회 정족수 75% 이상의 찬성이 필요한데, 군부 의석을 제외하고도 친군부 정당이 있어 현재로선 개헌이 불가능한 상황. <br /> <br />그러나 시민들은 굴하지 않았다. <br /> <br />02.02. <br /> <br />- 쿠데타 하루 만에 양곤을 중심으로 '시민불복종운동(CDM)'이 전개될 조짐이 일었고, <br /> <br />02.04. <br /> <br />- 만달레이에선 쿠데타를 반대하는 시민들의 첫 거리 시위가 열렸다. <br /> <br />02.07. <br /> <br />- 양곤에서 시민 10만 명이 운집한 항의 시위 열려. <br /> <br />02.09. <br /> <br />- 20세 여성 먀 트웨 트웨 카인이 시위 도중 머리에 총상을 입었는데, <br /> <br />02.19. <br /> <br />- 열흘 만에 숨졌다. 총격에 의한 첫 희생자였다. <br /> <br />- 미얀마 젊은이들, 주미얀마 한국대사관 앞에서 한국어로 도움 호소. <br /> <br />이번 시위를 이끄는 건 미얀마의 젊은 세대들이다. <br /> <br />1988년 일어난 '8888항쟁' 등 오랜 세월 반군부 투쟁을 해온 윈 라이 씨는 군부의 표적이 돼 28년 전 한국으로 망명했다. <br /> <br />[윈 라이 / 미얀마군부독재타도위원회 공동위원장 : SNS, 인터넷이 발달한 것도 그렇고. 이 젊은 친구들이 지난 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41718561632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